티스토리 뷰

1
반응형

기초연금인상
기초연금

 

현정부는 기초연금을 단계적으로 인상해 최종 40만원을 지급하기로 약속했다. 이때 소득기준을 보면 소득인정액이 0원이 노인이며, 소득이 0원인 약 128만명에게 먼저 지급하자고 제안했습니다.

기초연금에 대한 국민들의 생각은 "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불안을 잠재울 수 있는 아주 좋은 재원이 된다고 생각해요"였습니다.

국민연금만으로는 노후해결 못해 - 기초연금활용도 높여야

▶ 보건복지부 산하 국민연금 재정계산위원회(이하 재정위)가 1일 공청회에서 개선안을 내놓았습니다. 국민연금 개혁 18개 시나리오에 묻혔지만, 핵심적인 내용이 들어 있습니다. 재정위 21차례 회의 중 기초연금을 두차례 논의 했을 정도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국민연금만으로는 노후빈곤을 해결하는데 한계가 분명해 기초연금을 동원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재정위 위원 A씨는 '공청회에서 기초연금 개선안을 상세하게 공개하려 했으나 국민연금 개혁안이 묻힐까 봐 피했습니다. 정부가 10월 국민연금 개혁안을 국회에 제출할 때 자세히 담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 재정위는 기초연금을 인상할 때 저소득 하위계층에 먼저 올리는 방안을 주문했습니다. 이 주문은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과제와 닿아 있기 때문입니다. 현 정부는 기초연금을 단계적으로 40만원으로 인상하기로 약속했습니다. 기초연금은 2007년 시행한 기초노령연금을 확대한 것입니다.당시 지급 대상의 노인이 70%였고, 이걸 16년 동안 유지하고 있습니다. 재정위는 '노인의 경제 상황이 개선됐고,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고려하면 시의성이 떨어진다'고 진단합니다.

▶ 과거 노인과 달리 베이비부머(1955 ~ 63년생)의 소득과 재산이 올라간 점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초고령 노인, 여성, 독거노인의 소득이 훨씬 낮아 빈곤율이 높습니다. 그래서 재정위가 '저소득 노인 우선 인상'을 제안한 것입니다.


기초연금현황

국민연금공단이 2021년 기초연금 수급자 2000명을 설문조사 했을 때 이런 답변이 나왔습니다. 기초연금은 65세 노인 70%에게 지급합니다. 노인들은 '생활의 안전판', '자녀같다', '보험이다' 등 의 표현을 하였습니다.

어떤 이는 '기초연금이 안 나오면 엄청난 타격이 와서 자녀에게 손을 벌려야 할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올해 기초연금은 32만 3180원입니다. 부부는 부부연계감액제도로 인해 기초연금이 감액되어 20% 깎여 51만 7080원입니다. 올해 656만명에게 23조원의 예산이 들어갑니다.

2014년 도입돼 노인 상대빈곤율(중위소득 50%이하 노인의 비율)을 44.5%에서 37.6%(2021년)로 6.9% 낮췄습니다. 하지만 저소득 노인이나 중간층 노인이나 금액이 같아서 노인빈곤해소 효과가 떨어진다는 비판을 받습니다.


소득인정액 0원 노인에 집중 지원

지난 2월 재정위 7차 회의에서 국민연금연구원 최옥금 선임연구위원이 공개한 안에 힌트가 있습니다. 재정위 A씨는 '위원회에서 검토한 개선안이 최 박사 발표안과 별로 차이가 없다'라고 말했습니다. 최박사는소득인정액 0원인 노인에게 40만원을 지급하자고 제안했습니다.

2021년 말 지준으로 128만 4208명입니다. 기초연급 수급자의 19.1%에 해당합니다. 소득에다 재산의 소득환산액을 더한게 소득인정액입니다.이게 0원이라고 해서 소득과 재산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닙니다.

근로소득에서 108만원, 이자소득에서 4만원, 재산에서 1억 3500만원 등을 차감하고 소득인정액을 계산하기 때문입니다.정부의 노인 일자리 수입(월 27만원) 같은 것은 소득으로 잡지 않습니다. 최박사는 50만원으로 올리는 방안도 제시했습니다.

저소득 노인에게 먼저 인상하되 최대치를 지급하고, 그 위 계층은 감액을 적용하자는 것입니다.

기초연금 40만원 인상효과

기초연금을40만원으로 올리면 빈곤갭이 32.1%에서 27.6%로, 50만원으로 올리면 23.6%로 크게 줄어듭니다.빈곤갭은 상대 빈곤선(중위소득의 50%)에 못 미치는 금액을 상대 빈고선으로 나눈 값입니다. 이게 작은게 바람직합니다.

  40만원으로 올리리면 1조 4800억원, 50만원은 2조 9700억원의 예산이 필요합니다.


기준중위소득으로 선정방식 변경

대상자 선정방식 변경 : 재정위는 대상자 선정방식을 바꾸자고 제안합니다. 지금은 '소득 하위 70%'가 기준입니다. 여기에 맞춰 소득인정액이 얼마인지 추출해 이 기준 이하 노인에게 지급합니다.노인 증가 속도가 빨라 소득인정액 기준도 가파르게 인상되어 왔습니다./span>

1인 수급자의 월 인정액이2008년 40만원(부부 64만원)에서 2018년 131만원,올해 202만원(부부 323만 2000원)을 뛰었습니다.

소득이 월 300만원이 넘는데 기초연금을 지급해야 하나, 이런 의문이 제기됩니다. 또 집값이 비싼 분당과 과천 등지에 살면 못 받다가 서울외곽으로 이사하면 받을 수 있는 모순이 있습니다.

재정위는 노인으 70%대신 선정기준을 먼저 정할 것을 권고합니다.최박사는 기준중위소득(1인가구 207만 7892원)이 1인 수급자 소득인정액(202만원)과 비슷하다고 설명합니다. 이걸로 고정하거나 물가상승률만큼 올리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수급자 증가 폭을 낮추 재정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대신 저소득 노인이 빈곤 완화효과는 커집니다.


※ 기초연금 수급자 설문조사에서 소득 하위 20%이하 저소득 노인의 4.9%가 연금액에 대해 '만족하지 못한다'라고 답했습니다. 20.7%는 '보통'이라고 했습니다. 소득하위 20%의 노인의 62%가 생활비 조달 창구로 기초연금을 1순위로 꼽았습니다. 내가 만드는 복지국가 정책위원장은 '저소득 불안정 취업자는 국민연금으로 적절한 노후 소득을 준비하기 어렵다'며, '앞으로 저소득 노인에게 더 많이 지급하는 방식으로 전환해야 하며, 그러면 빈곤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
카카오톡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