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제 식당에서 사먹는 술도 비싸져서 아예 혼술을 즐겨야 하는 시대가 오는 것 같습니다.
하이트진로, 소주 맥주값 최고 9%인상
● 하이트진로가 오는 9일 참이슬 등 소주 제품 출고가를 인상하기로 함에 따라 식당 소주값 7000원 시대가 현실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 소주업계 1위 하이트진로가 소주와 맥주 제품 출고 가격을 7~9% 인상합니다. 하이트진로의 소주 출고가 인상은 작년 2월 이후 1년9개월 만입니다.
● 맥주업계 1위인 오비맥주가 지난달 맥주 가격을 올린 데 이어 하이트진로도 소주와 맥주 가격을 인상하기로 하면서 외식비 부담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옵니다.
● 하이트진로는 오는 9일 참이슬 출고가를 6.9%, 진로 출고가를 9.3% 인상합니다. 360mL 병과 1.8L 미만 페트 제품이 대상입니다.
● 참이슬 360mL 출고가는 1166.6원에서 1247.7원으로 81.1원 오릅니다.
● 테라 켈리 등 맥주 가격도 같은 날부터 평균 6.8% 인상합니다. 하이트진로 관계자는 소주의 주원료인 주정 가격이 연초 10.6% 올랐고, 병 단가도 21.6% 인상돼 제품 가격 인상 압력이 커졌다며 소비자 부담을 최소화하는 선에서 인상률을 결정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식당판매 주류 인상 예고
● 주류업계는 출고가 인상 여파로 식당이나 주점에서 판매하는 소주 가격이 지금보다 1000원 정도 비싼 6000~7000원이 될 것으로 예상한합니다.
● 2015년까지만 해도 3000~4000원이던 식당 소주 가격은 작년 2월 출고가가 85원 오른 영향으로 4000~6000원이 됐습니다.
2년새 주정 18% 병값 21% 상승 출고가 뛰면 도 소매 값도 올라
식당서 소주 1병값 7000원 전망 "외식 물가 자극하는 요인 될 것"
● 소주 시장 1위 하이트진로가 소주 제품 출고 가격을 인상하기로 결정하면서 음식점 소주 1병에 7000원 시대가 열릴 것이란 전망이 주류업계에서 나옵니다.
● 이미 맥주업계 1위 오비맥주가 지난달 맥주 출고가를 6.9% 올린 만큼 음식점에서 소맥(소주+맥주)을 마시기 위해 소주 1병과 맥주 2병을 시키면 조만간 2만원이 훌쩍 넘는 돈을 내야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하이트진로는 오는 11월 9일 참이슬과 진로 출고가를 각각 6.9%, 9.3% 인상합니다 참이슬 360mL의 출고 가격은 1166.6원에서 1247.7원으로 81원 오릅니다. 진로 360mL의 출고가는 1096원에서 1197.9원이 됩니다. 프리미엄 소주인 일품진로는 인상 대상에서 제외됐습니다.
● 통상 주류 출고가가 상향 조정되면 음식점과 주점에서 판매되는 제품 가격은 곱절 이상 뜁니다. 도매상과 소매상을 거칠 때마다 공급 가격의 10% 수준 부가가치세가 각각 붙어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소주 가격은 인상 폭이 훨씬 더 커집니다.
● 과거 사례에서 보면 출고가가 100원만 올라도 식당 소주값은 1000원 상승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다.
소주의 출고가는 2019년(참이슬 65.5원, 롯데칠성음료 처음처럼 73.0원)과 작년(참이슬 85.4원, 처음처럼 65.5원) 두 번 인상분을 합쳐도 200원이 채 오르지 않았습니다. 그사이 식당, 주점의 소주 판매가는 4000원에서 6000원 이상으로 껑충 뛰었다.
소주한병 7000원
● 이번 출고가 인상으로 소주 7000원 시대가 현실이 될 것이란 관측입니다. 벌써 음식점 등에서는 소주 가격을 500~1000원 올리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습니다.
● 주류 업체 관계자는 소주 제조 업체들이 출고가를 올리면 중간 유통상도 그에 비례해 이익을 남기려 하기 때문에 결국 음식점에서는 소주 가격이 대폭 오른다며 소주값 인상은 외식비 전체를 올리는 핵심 압박 요인이라고 말했습니다.
● 삼겹살 1인분(200g당 1만9253원 한국소비자원 집계)에 소주 1병, 맥주 2병을 시켜 소맥 세트를 즐기려면 비용이 1인당 4만원을 훌쩍 넘게 됩니다.
● 소주와 맥주 한 병에 1만원을 받는 곳도 점점 늘고 있습니다. 서울 강남 등지 참치집과 이자카야 중에는 일반 소주를 1만원 받는 곳이 많습니다.
다른 기업도 인상 가능성
● 하이트진로는 원 부자재 가격과 물류비 상승을 출고가 인상 요인으로 꼽았습니다. 소주는 주정(에탄올)에 물과 감미료를 섞어 제조합니다. 10개 주정 회사가 공급하는 주정을 국내에서 독점 유통하는 대한주정판매는 지난해 10년 만에 주정값을 8% 넘게 올린 데 이어 올 4월에도 9.8% 인상했습니다.
● 하이트진로에 따르면 새 병 구입 가격도 최근 2년 새 21.6% 올랐습니다. 물류비와 인건비도 계속 오르는 추세입니다. 주류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들썩이는 물가를 억누르기 위해 우유, 설탕 등의 제품 가격 인상 자제령을 내리며 식품업계를 압박하고 있지만 원 부자재 가격 상승 폭이 워낙 커 더는 소주 출고가 인상을 미룰 수 없다고 합니다
● 전체 소주 시장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하이트진로가 가격을 올리면서 롯데칠성음료, 무학, 보해양조, 대선주조 등 다른 소주 업체도 잇달아 가격 인상에 나설 예정입니다.
● 주류업계 일각에서는 주류 출고가 인상분보다 식당 판매 가격이 과도하게 오르는 것을 막기 위해 주류 판매 가격을 출고가의 세 배 안팎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옵니다.
● 소주 출고가가 800원 수준이던 2000년대엔 식당들이 보통 2000~3000원에 소주를 팔았고, 출고가가 1000원 수준이던 2010년대에 3000~4000원을 받았습니다. 이를 감안하면 출고가가 1200원 내외인 지금은 인건비 상승을 감안하더라도 4000~5000원 수준이 적정하다는 것이 주류업계 주장입니다.
다음은 많은 분들이 추천한 글모음입니다.